맨위로가기

이집트 제17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 제17왕조는 제2중간기에 테베를 중심으로 상 이집트를 통치한 왕조이다. 라호테프, 소베크엠사프 1세, 소베크엠사프 2세, 인테프 6세, 인테프 7세, 세나크텐레 아흐모세, 타오 2세, 카모세 등이 파라오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힉소스 세력과 대립하며 이집트 통일의 기반을 다졌으며, 특히 카모세는 힉소스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이집트 통일의 기반을 다졌다. 타오 2세는 힉소스와의 전투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아흐모세 1세가 힉소스 세력을 완전히 몰아내고 이집트를 통일하여 제18왕조를 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6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18왕조
    이집트 제18왕조는 아흐모세 1세가 기원전 1550년경 건국하여 기원전 1298년경까지 존속한 이집트 신왕국의 첫 번째 왕조로, 힉소스 축출과 투트모세 3세의 제국 확장, 아멘호테프 4세의 종교 개혁, 투탕카멘의 복고를 거쳐 호렘헤브 때 막을 내렸다.
  • 기원전 16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16왕조
    이집트 제16왕조는 고대 이집트 제2중간기에 존재했으며, 힉소스 제15왕조에 종속되었거나 테베를 중심으로 독립적인 왕조였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통치자 목록과 연대에 대한 학설이 분분하며, 힉소스와의 전쟁과 기근 속에서 존속하다가 멸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고대 이집트의 왕조 - 이집트 제10왕조
    이집트 제10왕조는 헤라클레오폴리스를 중심으로 성립되었으며, 제11왕조와의 갈등 속에서 이집트 일부를 지배하다가 멘투호테프 2세에게 멸망했고, 케티 3세와 메리카레 외 파라오 존재가 불확실하며, 당시 문서는 왕조 이해에 중요한 사료이다.
  • 고대 이집트의 왕조 - 이집트 제11왕조
    이집트 제11왕조는 기원전 21세기 초 테베를 중심으로 성장하여 이집트 제1중간기를 종식시키고 중왕국 시대를 열었으며, 멘투호테프 2세의 통치 하에 이집트를 재통일하고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며 활발한 대외 활동과 건축 사업을 통해 문화적 번영을 이룩했으나, 멘투호테프 4세 이후 아멘엠하트 1세에 의해 멸망하고 제12왕조로 이어졌다.
  • 이집트의 역사 - 아랍 연합 공화국
    아랍 연합 공화국은 1958년 이집트와 시리아의 합의로 수립되어 카이로를 수도로 하였으나, 이집트의 일방적인 정책으로 시리아가 반발하여 1961년 해체되었고, 이후 이집트는 1971년까지 국호를 유지했다.
  • 이집트의 역사 - 알렉산드리아
    알렉산드리아는 기원전 331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건설한 이집트 북부 지중해 연안의 도시로, 헬레니즘 시대에는 중심지로서 번영을 누렸으며 현재는 이집트의 주요 도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집트 제17왕조
개요
국가이집트
존속 기간기원전 1580년경 ~ 기원전 1550년경
이전이집트 제16왕조
계승이집트 제18왕조
수도테베
공용어이집트어
종교고대 이집트 종교
역사
시대청동기 시대
시작기원전 1580년경
종료기원전 1550년경
사건이집트 제16왕조로부터 분리
이집트 제18왕조에 의해 통일
통치
정치 체제절대 군주제
기타
위치상이집트

2. 역대 파라오

이집트 제17왕조는 약 30년 동안 이집트를 통치했다.[1] 이 시기는 이집트가 힉소스인들의 지배를 받던 혼란스러운 시기였지만, 17왕조의 파라오들은 힉소스에 맞서 싸우며 이집트의 독립을 위해 노력했다.

이집트 제17왕조의 왕
노멘(개인 이름)프레노멘(왕위 이름)호루스 이름그림재위 기간매장지배우자참고
라호테프세켐레-와크하우와한크
기원전 1585년경|
소베크엠사프 1세세켐레-와즈크하우헤테프네체루
70px
7년누베므하트 |
소베크엠사프 2세세켐레-셰드타위(알 수 없음)
70px
람세스 9세의 치세 동안 약탈당함누브카에스 |
인테프 5세세켐레-웨프마아트웨프마아트
70px
드라 아부 엘-나가?|
인테프 6세누브케페르레네페르케페루
드라 아부 엘-나가소베크엠사프 |
인테프 7세세켐레-헤루헤르마트(알 수 없음)
드라 아부 엘-나가?하안케스 |
아흐모세세나크텐레메리마트
Relief Senakhtenre by Khruner
1년테티셰리 |
타오세케넨레카엠와세트
기원전 1560년경 (4년)드라 아부 엘-나가?아흐모세 인하피, 시트제후티, 아호테프 1세 |힉소스족과의 전투에서 사망
카모세와즈케페레카에르네세테프
Sarcophage-Kamose
기원전 1555년부터 1550년까지 (5년)드라 아부 엘-나가아호테프 2세? |



타오 2세는 힉소스에 맞서 용감하게 싸웠으나 전투 중 사망했고, 그의 아들 카모세 역시 힉소스와의 전쟁을 이어갔다.[1] 타오 2세의 왕비 아호테프 1세는 남편 사후 섭정을 맡아 이집트를 다스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제17왕조의 왕 계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토리노 왕명표와 유물 등을 토대로 왕들의 계보를 재구축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완전한 복원에는 이르지 못했다.[17]

2. 1. 라호테프

라호테프는 이집트 제17왕조의 파라오이다. 그의 프레노멘(왕위 이름)은 세켐레-와크하우이며, 호루스 이름은 와한크이다.[1] 기원전 1585년경에 통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2. 2. 소베켐사프 1세

소베크엠사프 1세는 세켐레-와즈크하우라는 왕위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호루스 이름은 헤테프네체루이다. 재위 기간은 7년이었고, 배우자는 누베므하트였다.[1]

이집트 제17왕조의 왕
노멘(개인 이름)프레노멘(왕위 이름)호루스 이름그림재위 기간매장지배우자
소베크엠사프 1세세켐레-와즈크하우헤테프네체루7년누베므하트


2. 3. 소베켐사프 2세

소베켐사프 1세의 아들이다.[1] 람세스 9세 치세 동안 소베켐사프 2세의 무덤이 약탈당했다.[1]

이집트 제17왕조의 왕
노멘(개인 이름)프레노멘(왕위 이름)호루스 이름그림재위 기간매장지배우자
소베크엠사프 2세세켐레-셰드타위(알 수 없음)람세스 9세의 치세 동안 약탈당함누브카에스


2. 4. 인테프 5세 (세켐레-웨프마아트 인테프)

인테프 5세의 프레노멘은 세켐레-웨프마아트이고, 노멘은 인테프, 호루스 이름은 웨프마아트이다.[1] 그의 무덤은 드라 아부 엘-나가에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1]

이집트 제17왕조의 왕
노멘(개인 이름)프레노멘(왕위 이름)호루스 이름그림재위 기간매장지배우자
인테프 5세세켐레-웨프마아트웨프마아트드라 아부 엘-나가?


2. 5. 인테프 6세 (누브케페르레 인테프)

인테프 6세는 인테프 5세의 뒤를 이어 이집트 제17왕조를 다스린 파라오이다. 그의 프레노멘(왕위 이름)은 누브케페르레이며, 호루스 이름은 네페르케페루이다.[1]

이집트 제17왕조 누브케페르레 인테프
노멘(개인 이름)프레노멘(왕위 이름)호루스 이름그림재위 기간매장지배우자
인테프 6세누브케페르레네페르케페루드라 아부 엘-나가소베크엠사프


2. 6. 인테프 7세 (세켐레-헤루히르마트 인테프)

인테프 7세는 인테프 6세의 형제이자 후계자였으며, 힉소스인들에 의해 이집트가 분열되었던 시기인 이집트 제2중간기 동안 통치했다.[1]

인테프 7세의 미라는 드라 아부 엘-나가에 위치한 그의 무덤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1827년에 발견되었고 나중에 람세스 9세 통치 기간에 다시 묻혔다. 그의 관은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1]

이집트 제17왕조의 왕
노멘(개인 이름)프레노멘(왕위 이름)호루스 이름그림재위 기간매장지배우자
인테프 7세세켐레-헤루헤르마트(알 수 없음)드라 아부 엘-나가?하안케스


2. 7. 세나크텐레 아흐모세



아흐모세는 이집트 제17왕조의 왕으로, 1년 동안 통치했다.[1] 그의 호루스 이름은 메리마트였다.[1] 그는 테티셰리와 결혼했다.

이집트 제17왕조의 왕
노멘(개인 이름)프레노멘(왕위 이름)호루스 이름그림재위 기간매장지배우자참고
아흐모세세나크텐레메리마트1년테티셰리


2. 8. 타오 2세 (세케넨레 타오)

타오는 세케넨레라는 왕위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호루스 이름은 카엠와세트이다. 기원전 1560년경에 약 4년 동안 통치하였으며, 드라 아부 엘-나가에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배우자는 아흐모세 인하피, 시트제후티, 아호테프 1세이다. 힉소스족과의 전투에서 사망하였다.[1]

2. 9. 카모세

카모세는 와즈케페레라는 호루스 이름을 가졌으며, '카에르네세테프'라고도 불렸다. 기원전 1555년부터 1550년까지 5년간 통치했으며, 드라 아부 엘-나가에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배우자는 아호테프 2세로 추정된다.[1]

이집트 제17왕조의 왕
노멘(개인 이름)프레노멘(왕위 이름)호루스 이름그림재위 기간매장지배우자참고
카모세와즈케페레카에르네세테프기원전 1555년부터 1550년까지 (5년)드라 아부 엘-나가아호테프 2세?


2. 10. 아호테프 1세 (섭정)

타오 2세의 왕비이자 카모세의 어머니였던 아호테프 1세는 이집트 제17왕조에서 중요한 정치적 역할을 수행했다. 그녀는 남편 타오 2세가 히크소스족과의 전투에서 사망한 후, 아들 카모세가 왕위를 이을 때까지 섭정을 맡아 통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 그녀의 정확한 재위 기간은 알려져 있지 않다.

3. 역사

마네토[19]의 기록에 따르면 제17왕조에는 43명의 힉소스 왕과 43명의 테베(디오스폴리스) 왕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개별 왕의 이름은 기록되지 않았다. 힉소스 왕으로 여겨지는 이들은 제16왕조의 여러 왕과 마찬가지로 제15왕조를 따르는 소집단의 지배자들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테베 왕으로 여겨지는 이들은 상 이집트의 지방 지배자들이었다.

제17왕조의 파라오는 약 30년 동안 통치했으며, 알려진 통치자들은 다음과 같다.[1]

이집트 제17왕조의 왕
노멘(개인 이름)프레노멘(왕위 이름)호루스 이름그림재위 기간매장지배우자참고
라호테프세켐레-와크하우와한크기원전 1585년경
소베크엠사프 1세세켐레-와즈크하우헤테프네체루7년누베므하트
소베크엠사프 2세세켐레-셰드타위(알 수 없음)람세스 9세의 치세 동안 약탈당함누브카에스
인테프 5세세켐레-웨프마아트웨프마아트드라 아부 엘-나가?
인테프 6세누브케페르레네페르케페루드라 아부 엘-나가소베크엠사프
인테프 7세세켐레-헤루헤르마트(알 수 없음)드라 아부 엘-나가?하안케스
아흐모세세나크텐레메리마트1년테티셰리
타오세케넨레카엠와세트기원전 1560년경 (4년)드라 아부 엘-나가?아흐모세 인하피, 시트제후티, 아호테프 1세힉소스족과의 전투에서 사망
카모세와즈케페레카에르네세테프기원전 1555년부터 1550년까지 (5년)드라 아부 엘-나가아호테프 2세?



네브마아트레 왕은 제17왕조 초기의 통치자였을 수 있다.[17]

제17왕조는 힉소스 세력에 맞서 싸워 이집트 통일에 기여하였다. 타오는 힉소스와의 전투에서 사망하였고, 그의 아들 카모세는 힉소스에 대한 공세를 이어갔다. 카모세 사후 그의 동생 아흐모세 1세는 이집트를 통일하고 이집트 제18왕조를 열었다.

3. 1. 힉소스와의 관계

제17왕조와 힉소스(제15왕조) 간의 관계는 동시대 사료가 거의 남아 있지 않아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20] 초기에는 힉소스가 하 이집트에서 누비아 북부에 이르는 넓은 지역을 직접 지배했다는 가설이 있었으나, 카모세 왕의 비문 발견 이후 이 견해는 거의 사라졌다.

초기 제17왕조의 지배자들은 힉소스의 권위에 정면으로 도전하지 않고 제후로서 복종하는 모습을 보였다. 후대에 기록된 『아포피스와 세켄엔라의 다툼』이라는 텍스트에 따르면, 힉소스 왕 아포피스(아페피)가 제17왕조의 세켄엔라 왕에게 테베 신전의 하마 울음소리가 시끄럽다며 트집을 잡아 하마를 죽이라고 요구했다.[20] 세켄엔라는 이 요구에 굴복하는 듯 보였으나, 결국 힉소스와의 전쟁을 결심하게 된다.

이 설화는 후대의 정치적 텍스트이기 때문에 역사적 사실성을 온전히 반영한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적어도 세켄엔라의 치세 초기까지 제17왕조가 힉소스에 대해 신하로서의 예를 갖추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3. 2. 힉소스와의 전쟁

타오는 힉소스족과의 전투에서 사망했다. 데일 엘 바하리에서 발견된 타오 왕의 미라는 머리 오른쪽 면에 3곳, 미간에 1곳, 왼쪽 뺨에 1곳, 총 5곳의 열상을 입고 있었다. 미라의 방부 처리가 서둘러 이루어진 것으로 보아, 전장에서 방부 처리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21]

왕이 전사하는 사태를 맞아 제17왕조는 제15왕조와 쿠사에를 경계로 하는 협정을 맺고 일시적으로 강화했다. 그러나 타오의 뒤를 이어 왕이 된 아들 카모세(기원전 1573년경 - 기원전 1570년경)는 전쟁을 다시 시작하기를 강력히 원했다. 그와 대신들 사이에서 행해진 회의 모습을 기록한 동시대 문서에 따르면, 카모세는 대신들 앞에서 싸움의 필요성을 열변을 토하며 주장했다.

ꜥꜣ-pḥty|아-페티|한 수장이 아바리스에 있고, 쿠시에 다른 수장이 있다. 그러므로 나는 아시아인과 누비아인의 동맹과 이집트에 할거하는 모든 무리들의 소용돌이 속에 앉아 있다. ...사람들은 모두 아시아인들의 노예가 되기 위해 쇠퇴하고, 숨결을 알지 못한다. 나는 그와 싸워 그의 배를 찢을 것이다. 그것은 곧 이집트를 구출하고 아시아인을 섬멸하는 것을 나의 소원으로 삼는 것이다.egy

이에 대해 대신들은 공존의 이점을 설명하며 온건책을 주장했지만, 오히려 카모세 왕의 불쾌감을 샀다고 한다. 결국 카모세는 힉소스를 상대로 군사 행동을 재개했다. 초기 전투에서 제15왕조 측의 유력 제후였던 헤르모폴리스(고대 이집트어: 우누, 현재의 아슈무네인) 후 테티를 격파하고, 서부 사막의 바하리야 오아시스도 점령했다. 거기서 제15왕조가 누비아쿠시 후에게 보낸 사자를 붙잡아 남북으로부터 협공 당하는 사태를 막았다. 그 후에도 카모세는 계속 진격하여, 제15왕조의 아바리스 근교까지 쳐들어가 약탈한 후 철수했다.[21]

3. 3. 이집트 통일

카모세는 재위 3년 남짓으로 요절했고, 그의 동생 아흐모세 1세(기원전 1570년경 - 기원전 1546년경)가 왕위를 이었다. 아흐모세 1세는 고대 이집트를 통일한 업적을 인정받아 이집트 제18왕조를 시작한 것으로 분류되며, 현대 학자들도 이 분류를 따르고 있다.

아흐모세 1세는 즉위 후, 우선 힉소스 세력인 제15왕조와 강화 협정을 맺고 국내 지위 안정에 힘썼다. 그 후, 다시 제15왕조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당시 제17왕조를 섬긴 선장 "이바나의 아들 아흐모세[22]"의 묘에 남겨진 전기에 따르면, 아흐모세 1세는 먼저 하이집트로 가는 입구에 해당하는 도시 멤피스를 점령했다. 이후 제15왕조의 수도 아바리스를 여러 차례 공격하여, 치세 10년경까지 아바리스를 함락시키고 힉소스의 이집트 영토를 병합하여 이집트 통일에 성공했다.

제15왕조의 잔존 세력은 팔레스타인의 샤루헨으로 도망쳐 항전했지만, 아흐모세 1세는 치세 11년에 팔레스타인 원정을 감행했다. 3년에 걸친 포위전 끝에 샤루헨을 함락시켜 제15왕조를 멸망시키고 힉소스계 세력을 완전히 몰아냈다.[21]

4. 파라오 계보

이집트 제17왕조의 왕
노멘(개인 이름)프레노멘(왕위 이름)호루스 이름그림재위 기간매장지배우자참고
라호테프세켐레-와크하우와한크기원전 1585년경
소베크엠사프 1세세켐레-와즈크하우헤테프네체루7년누베므하트
소베크엠사프 2세세켐레-셰드타위(알 수 없음)람세스 9세의 치세 동안 약탈당함누브카에스
인테프 5세세켐레-웨프마아트웨프마아트드라 아부 엘-나가?
인테프 6세누브케페르레네페르케페루드라 아부 엘-나가소베크엠사프
인테프 7세세켐레-헤루헤르마트(알 수 없음)드라 아부 엘-나가?하안케스
아흐모세세나크텐레메리마트1년테티셰리
타오세케넨레카엠와세트기원전 1560년경 (4년)드라 아부 엘-나가?아흐모세 인하피
시트제후티
아호테프 1세
히크소스족과의 전투에서 사망
카모세와즈케페레카에르네세테프기원전 1555년부터 1550년까지 (5년)드라 아부 엘-나가아호테프 2세?

[1]

네브마아트레 왕은 제17왕조 초기의 통치자였을 수 있다.[17]

'''제17왕조 파라오 일람'''
호루스명즉위명탄생명재위비고
네브케페르라안테프 5세기원전 1668년경 - 1663년경
우아카우라헤테프기원전 1663년경 - 1660년경
세켐라우아지카우세베크엠사프 1세기원전 1660년경 - 1644년경
세켐라세멘타위제후티기원전 1644년경 - 1643년경
세앙크엔라멘투헤테프 6세기원전 1643년경 - 1642년경
스와지엔라네빌리아우 1세기원전 1642년경 - 1623년경
세멘라네빌리아우 2세기원전 1667년경
세우세르엔라베비앙크우기원전 1622년경 - 1610년경
세켐라웨프마아트안테프 6세기원전 1610년경 - 1601년경
세켐라헤르우헤르마아트안테프 7세기원전 1601년경 - 1596년경
세켐라셰드타위세베크엠사프 2세기원전 1596년경
세나크토엔라타아 1세기원전 1596년경 - 1591년경
세켄엔라타아 2세기원전 1591년경 - 1574년경
우아지케페르라카메스기원전 1573년경 - 기원전 1570년경
네브페후티라(제18왕조) 야흐모세 1세기원전 1570년경 - 기원전 1546년경



최근 덴마크의 이집트 학자 킴 롤트(Kim Ryholt) 등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자들은 토리노 왕명표와 새로 발견된 유물을 토대로 계보를 재구축하여, 지금까지 일괄적으로 제17왕조에 속한다고 여겨져 왔던 왕들이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가계로 대별된다는 설을 주장하고 있다. 롤트는 테베를 본거지로 한 제2중간기 전기의 가계를 제16왕조로 하고, 야흐모세 1세에 이르는 말기의 가계를 제17왕조로 하는 새로운 분류 방법을 제시하여, 통설에서 제16왕조로 취급되었던 힉소스계의 제후들을 제14왕조나 제13왕조 말기에 재분류하고 있다.

'''재구축된 제17왕조 파라오 일람'''
호루스명즉위명탄생명재위비고
우아카우라헤테프기원전 1580년경 - 1576년경
세켐라셰드타위세베크엠사프 1세기원전 1576년경? - 1573년경?
세켐라웨프마아트안테프 6세(5세)기원전 1573년경? - 1571년경세베크엠사프 1세의 아들
네브케페르라안테프 7세(6세)기원전 1571년경 - ?세베크엠사프 1세의 아들, 안테프 6세의 형제
세켐라헤르우헤르마아트안테프 8세(7세)안테프 6세의 왕비의 형제?
세켐라우아지카우세베크엠사프 2세기원전 1567년경 - 1560년경?안테프 6세의 왕비의 형제?
세나크토엔라야흐모세기원전 1560년경 - 1559년경안테프 6세의 왕비의 형제?
세켄엔라타아기원전 1559년경 - 1555년경세나크토엔라·야흐모세의 아들
우아지케페르라카메스기원전 1555년경 - 1550년경세켄엔라·타아의 형제 혹은 아들


5. 평가

이집트 제17왕조는 힉소스의 지배에 맞서 싸우며 이집트의 독립을 쟁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약 30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존속했지만, 이들의 투쟁은 이집트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1]

특히, 세케넨레 타오는 힉소스와의 전투에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이집트인들의 강렬한 저항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다.[1] 그의 아들 카모세 역시 힉소스에 맞서 싸웠으며, 이러한 노력은 결국 이집트의 독립으로 이어졌다.[1]

이러한 제17왕조의 독립 투쟁은 외세의 침략에 맞서 싸운 한국의 역사와도 비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제강점기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은 억압적인 식민 통치에 굴하지 않고 끊임없이 독립을 추구했다. 이처럼 억압에 굴복하지 않고 민족의 독립을 위해 투쟁했다는 점에서 제17왕조는 이집트 민족주의 형성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볼 수 있다.

참조

[1]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A Pharaoh of the Seventeenth dynasty identified at Karnak http://www.cfeetk.cn[...] CFEETK – Centre Franco-Égyptien d'Étude des Temples de Karnak
[3] 학술지 'Were the ancient Egyptians black or white?'
[4] 서적 From slave to pharaoh : the black experience of ancient Egypt http://worldcat.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6
[5] 웹사이트 Ideas about "Race" in Nile Valley Histories: A Consideration of "Racial" Paradigms in Recent Presentations on Nile Valley Africa, from "Black Pharaohs" to Mummy Genomest https://egyptianexpe[...] 2022-09
[6]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Wiley-Blackwell
[7]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Wiley-Blackwell
[8]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Egypt Revised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Facts on File Library of World History) Facts on File
[10]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003 Oxford Univ Pr
[11] 서적 Canaan and Israel in Antiquity: An Introduction Sheffield Academic Press
[12] 서적 Citie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13] 서적 Canaanites (Volume 2) (Peoples of the Past)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4] 서적 Egypt: How a Lost Civilisation Was Rediscovered BBC Books
[15] 서적 Jews of Egypt from Rameses II to Emperor Hadrian T&T Clark
[16] 서적 The Concis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Parragon Book Service
[17] 간행물 The political situation in Egypt during the second intermediate period, c. 1800-1550 B.C.
[18] 문서 紀元前3世紀のエジプトの歴史家[[マネト]]の記録では'''ディオスポリスマグナ'''と呼ばれている。これは[[ゼウス]]の大都市の意であり、この都市が'''ネウト・アメン'''([[アメン]]の都市)と呼ばれたことに対応したものである。この都市は古くは'''ヌエ'''と呼ばれ、[[旧約聖書]]では'''ノ'''と呼ばれている。ヌエとは大都市の意である。[[エジプト新王国|新王国]]時代にはワス、ワセト、ウェセ(権杖)とも呼ばれた。
[19] 문서 紀元前3世紀のエジプトの歴史家。彼はエジプト人であったが、ギリシア系王朝[[プトレマイオス朝]]に仕えたため[[ギリシア語]]で著作を行った。
[20] 문서 参考文献「ヒュクソスのエジプト支配」『西洋古代史論集1』の記述による。
[21] 문서 カーメスの軍功については、[[1954年]]に発見された彼の戦勝記念碑によって知られている。この記念碑はカーメス王が[[テーベ]]の[[カルナック神殿]]に奉納したものであり、当時の政治状況を知ることのできる数少ない文書の1つである。この種の文献の常としてカーメス自身の軍功や、正当性には誇張があると考えられている。当然のように彼は解放者として描かれているが、第15王朝の支配下にあったエジプト人達が当時の時点でそのような捉え方をしたかは疑わしい。
[22] 문서 王であるイアフメス1世とは同名の別人である。
[23] 문서 혼란기로 통일왕조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